"원생이 없어서"‥유치원이 노치원으로 (뉴스데스크 2024.5.12 광주MBC)
Автор: 광주MBC뉴스
Загружено: 12 мая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1 012 просмотров
(앵커)
지역 어린이집과 유치원이
요양원과 노인주간보호센터로
잇따라 간판을 바꿔 달고 있습니다.
저출생에 고령화 현상 때문인데요.
초기 비용과 경쟁 등을 고려하면
업종 전환이 쉽지 않지만
노인 보호 시설로 전환을 고려하는
어린이집이 큰 폭으로 늘고 있습니다.
유민호 기자입니다.
(기자)
흥겨운 트로트에 맞춰 박수 치는 어르신들.
강사의 큰 동작을 따라 몸의 활기를 깨웁니다.
노경원
"집에 있는 것보다 여기 와서 대화를
서로 나누고 그러고 보니 즐겁고 그래요."
박수와 웃음이 가득한 이곳.
지난해 6월까지 어린이집이었습니다.
보행기는 성인용으로 더 커졌고.
스케치북은 인지 훈련용 그림이 대신합니다.
"아이들이 낮잠을 자던 공간에는 이렇게
따뜻한 온돌 바닥과 건강 침대가 설치돼 있습니다."
13년 운영한 어린이집을 접고
노인주간보호센터로 업종을 변경한 건
저출생 고령화 때문입니다.
장현철 / 노인주간보호센터 운영
"좋은 교사를 구하기 쉽지 않아서. 그게 현실적인 이유였고.
두 번째는 애들 감소, 인구 감소 때문에 고민하던 차에 전환했습니다."
순천에서는 지난 5년 동안 어린이집·유치원 6곳이
요양원과 주간복지센터로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초기 비용과 인허가를 고려하면
업종 전환도 쉽지만은 않은 상황입니다.
김상동 / 노인주간보호센터 운영
"시설 (리모델링) 비용하고 저희들은 선생님이나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다 갖춰놓고 허가를 내야 됩니다. 그게 좀 어렵습니다."
시설도 포화 상태입니다.
노인복지시설의 신규 진입이 늘면서
경쟁에 내몰릴수록 서비스 질이
낮아질 수 있단 우려도 나옵니다.
위종욱 / 순천주간보호센터협회장
"이런 시설들이 정원이 다 차 있는 곳이 없을 정도로
굉장히 많이 생기고 있거든요. (유치를 위해) 식대를
감액하든지 서비스 질이 굉장히 떨어질 수밖에 없죠."
한때 마을 곳곳마다
위치해 있던 유치원은 사라지고
그 자리에 노인복지시설이 새로 들어서는 세태.
아이는 낳지 않고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는 시대,
거스를 수 없는 현상이 되고 있습니다.
MBC 뉴스 유민호입니다.
#어린이집 #유치원 #노인복지시설 #요양원 #노인주간보호센터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