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별 백일법문] 8일차 법문 "12연기의 바른 이해, 생멸연기, 법계연기, 진여연기" 1967년 12월 11일 법문
Автор: 백련불교문화재단_성철사상연구원
Загружено: 2024-12-25
Просмотров: 1627
성철스님은 연기법에 대한 바른 이해가 바로 중도에 대한 바른 이해이며, 비유비무의 통찰이 바로 진여법계를 바로 보는 일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상의상연, 서로 의존하여 존재하고 인연으로 그물코처럼 얽혀있는 연기의 법칙이야말로 진여의 세계를 아는 도리라고 강조합니다. 중도의 법칙으로 이해하는 연기법의 실상 법문입니다.
한국불교에서는 성철스님이 백일법문을 할 당시 12연기를 소승의 설일체유부의 교리를 통해 생멸연기라는 방식으로 가르치고 있었습니다. 성철스님은 진여법계의 연기를 중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연기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극복하고 진여법계의 연기법으로의 인식전환이 필요함을 강조한 것입니다. 분별망견을 가지고 생멸의 시간적 순서로 이해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성철스님의 백일법문은 불교가 가진 본질적 특성과 중도사상의 재해석, 그리고 근본불교 교학에 대한 재검토로 나아갑니다. 33회 백일법문은 그중에서 근본불교에서 12연기의 개념을 새롭게 바라보고 거기서 법성과 불성의 개념을 다시 검토해봅니다. 과거에는 12연기는 시간적 순서에 따라 해석으로 봤다면 성철스님은 중도연기 즉 법계연기의 관점으로 바라봅니다. 그리고 그안에서 법성을 다시 바라봅니다.
성철 스님은 누군가 이 세계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불교의 입장을 묻는다면 연기설이라고 답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주지하다시피 연기설은 “이것이 있음으로 저것이 있다〔此有故彼有〕”는 관계성을 기본으로 하는 교설입니다.
그런데 십이연기설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이 있어 왔습니다. 하나는 시간적 인과(因果) 관계로 보아서 존재의 발생을 설명하는 해석이고, 다른 하나는 만물의 존재원리로 보는 해석입니다.성철 스님은 연기를 시간적 발전관계로 보아서 존재의 생성으로 해석하면 연기설도 창조론이나, 전변설과 같은 맥락으로 떨어지고 만다고 경고합니다. 무명에서 행이 나왔고, 행에서 식이 나왔고, 이렇게 하여 생과 사가 있고 모든 것이 비롯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기설을 생성의 원리로 해석하는 것은 후대에 등장한 왜곡된 해석이라는 것이 성철 스님의 설명입니다.
#성철스님 #연기법 #진여연기
[날짜별 백일법문] 8일차 법문 "12연기의 바른 이해, 생멸연기, 법계연기, 진여연기" 1967년 12월 11일 법문
백련불교문화재단 http://sungchol.org/
성철선사상연구원 http://www.songchol.com/?skipintro=1
![[날짜별 백일법문] 8일차 법문 "12연기의 바른 이해, 생멸연기, 법계연기, 진여연기" 1967년 12월 11일 법문](https://ricktube.ru/thumbnail/yG3sxxpfGHY/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