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 겔룩빠 승가 교육에 대한 설명.
Автор: 불교 심리학과 상담 심리학
Загружено: 4 ма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26 просмотров
티벳 승가 교육의 제도, 특히 겔룩파의 승가 교육 제도는 인도 나란다의 승가 교육 제도를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사원은 대학교와 비슷한 느낌을 주며, 깊은 학문적 연구와 수행이 이루어지는 공간입니다. 오늘은 이 방대한 승가 교육 제도의 기초가 되는 승려들의 하루 일과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대부분의 사원에서 비슷한 일과를 따르지만, 본 영상에서는 겔룩파의3대 사원 중 겔룩빠 승가 교육을 소개합니다.
티벳 불교의 가장 큰 특질은 논리학과 접목하여 발달한 유식(唯識)과 중관(中觀)사상을 수행체계의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단계적인 수행체계의 틀을 일목요연하게 세운 점이다. 삼예 논쟁 이후, 티벳의 승가 교육체계는 고대인도 불교철학 교육체계를 기준으로 하여 발달해 왔으며, 이는 수행의 성취라는 열매를 맺을 수 있게 하는 사상체계의 바탕이 되었다.
티벳 승가교육은 고대인도의 불교대승원인 날란다(Nālandā)대학의 전통을 이어서, 티벳 내에서 불교 사상체계와 논리학을 더욱 발전시키고, 이를 수행체계 안에 고스란히 자리 잡게 하였다. 즉 티벳에서 논리학과 맞물려 발달한 유식과 중관사상은 밀교(딴뜨라)의 수행체계를 숙성시키는 사상체계가 되었다.
이 글에서는 고대 날란다 대학의 전통과 수행체계에서 인식론적 접근의 중요성과 이를 바탕에 둔 티벳 승가대학의 교과과정을 겔룩빠 중심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이는 일반대학의 불교철학박사 학위에 해당하는 ‘게쉐’를 수여하는 교과과정이다. 최근, 니승(尼僧)들에게도 ‘게쉐마’ 학위를 수여하기 시작했다. 인도에서 체계를 갖추고 있는 티벳 니(尼)승가대학들의 교과과정과 그 현황도 알아본다. 이렇게 체계적인 수행의 틀이 되는 티벳 승가대학의 교학 체계를 살핌으로써, 우리 승가대학 교과과정의 보완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