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철] 아파트사이클연구소
부동산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 정확한 이론으로 시장을 분석하고 현상을 설명합니다.
아파트 사이클 연구소 소장 이현철입니다.
아파트는 필수품이면서 투자상품입니다
주식이나 암호화폐등 전형적인 투자상품은 관심이 없는 사람은
끝까지 관심을 갖지 않아도 되고 관심이 없을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분위기가 과열될때에도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을수도 있게 되는 것이죠.
그런데 주택은 다릅니다. 피할수 없습니다.
매일 매일 접하면서 살아야 합니다. 그래서 주택시장이 과열되면
그동안 관심을 가지지 않아도 될것 같다가 어쩔수 없이 과열된 시장에
반 강제적으로 참여하게 됩니다.
그래서 부동산 공부가 필요합니다.
[피하지 못할거면 즐겨라] 라는 말이 있습니다.
부동산은 피할수 없습니다. 관심을 갖지 않고 살다가 반드시
후회하는 상황을 맞닥뜨리게 됩니다.
그럴거면 공부를 해서 내가 시장을 응용하고 잘 대응할수 있게
만드는게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 과정에서 제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부동산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으로
부동산에 대한 좀더 정확한 이론으로
시장을 분석하고 현상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비즈니스 협업 문의 : [email protected]
#아사연 #아파트사이클연구소 #이현철 #부동산
본채널은 금융투자업자가 아닌 유사투자자문업자가 운영하는 채널로서 개별적인 투자 상담과 자금 운영이 불가합니다. 본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는 투자판단의 참고자료로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그린벨트를 풀면 안정될까? 공급을 늘리는 정부의 움직임이 땜질식 대책에 불과한 이유
전세금 불안, 토허제의 탓일까? 아니면 누군가 만들어낸 이야기일까?
한국 부동산이 위험하다. 일본이 그랬듯, 내부에서 무너지고 있다.
부동산 감독 추진단 출범! ‘시장 안정’ 가져올까?, 아니면 ‘국민 감시’ 기구로만 남을까?
풍선효과를 막으려던 역대급 규제, 오히려 불씨를 키우게 된 이유
“정부 똘똘한 한 채 정조준” 증세의 칼날이 당신을 겨눈다
여당의 재초환 완화·폐지 카드. 눌려 있던 수요를 다시 깨우는 치명적 한 수.
‘집값 잡겠다던 정부’…정책 신뢰를 무너뜨린 폭탄은, 내부에서 던져졌다
주간 시세, 믿을 수 있나? 시장은 '호가가 만든 착시'에 움직이는 중
문재인 정부의 ‘28번 실패’를 반면교사 삼은 이재명 정부. 이번엔 과연 다를까?
‘9년 임대차 법안’ 발의 됐다. 통과되면, 전세 시장 ‘끝장’ 납니다.
정책이 나와도 멈추지 않는 부동산 시장. ‘시장 자율론’과 ‘정부 개입론’ 중 어떤게 답일까?
한 달 만에 초강력 부동산 대책 나왔다. 부동산 시장 자체가 초토화됩니다.
“시장만 더 과열시킨 분양가상한제”. 이대로 나둬도 괜찮을까요?
합법의 탈을 쓴 ‘분양 함정’, 당신도 걸릴 수 있습니다
“전세난이 매매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처럼 당연하다고 믿었던 부동산 공식, 사실은 틀렸습니다
“상승장에서도 팔리지 않는 아파트가 있다?” 악성 미분양, 절대 사면 안되는 이유
상가 의무 비율 폐지, 공실 문제의 해결책 될까? 상가 없는 아파트의 10년 뒤를 예측해봤습니다
[추석특집] 금리 비교 안 하면 수백만원 손해봅니다. 낮은 금리 받는 꿀팁 알려드립니다
“하나둘 버려지는 청약통장” 지금은 애물단지 같아도 끝까지 가져가야 하는 이유
규제 푼다고 1기 신도시 재건축 불 붙을까? 오히려 시장 불안 키우는 이유는?
9.7 공급 대책에 대한 다양한 평가, 제 결론은 ‘이것’입니다
“공급 확대의 시대가 온다” 무주택자의 내 집 마련 전략 ‘이렇게’ 달라져야 합니다
이재명 취임 100일 기자회견, ‘끊임없는 추가 대책’을 예고한 이유는?
“세입자 쫓겨나고, 투자자 흔들린다”. 그럼에도 전세 시장을 정조준하는 정부의 의도는?
“이 결정, 단순 행정 변화가 아닙니다.” 토허제, 지자체에서 정부로 넘어간 진짜 이유는?
“빚투성이 LH의 직접 공급 가능할까?” 재정 건전성 확보, 해답은 ‘여기에’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 135만 호 ‘슈퍼 공급’ 꺼냈다. 집값 안정의 돌파구 될까?
공동명의 vs 단독명의. 상황을 잘 따져보고 선택해야 하는 이유
정부의 외국인 부동산 투자 ‘원천봉쇄’. 집값 안정 이면에 숨겨진 진짜 의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