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체계획서도 안 지켰나…‘위층은 놔두고 저층부터 철거’ 정황 / KBS 2021.06.10.
Автор: KBS News
Загружено: 10 июн. 2021 г.
Просмотров: 2 959 просмотров
건물이 무너지기 전 해체계획서를 무시하고, 마구잡이식으로 작업이 진행된 정황도 포착됐습니다.건물 꼭대기부터 한 층씩 차례로 철거하기로 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리포트]
5층짜리 건물이 붕괴되기 전 모습입니다.
건물 3층 높이까지 쌓인 토사 위에서 중장비가 건물 중간층 안쪽을 부수고 있습니다.
재개발조합 측이 담당 구청에 낸 해체계획서 내용과는 다른 철거방식입니다.
KBS가 단독 입수한 해체계획서에는 5층부터 한 층씩, 이른바 '톱 다운 방식'으로 3층까지 철거를 마친 뒤 1, 2층을 철거하는 걸로 돼 있습니다.
건물이 균형을 잃고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위에서 아래로 한 개 층씩 차례로 철거하는 계획을 제출했지만 실제로는 층을 구분하지 않고 철거작업을 진행한 정황을 보여줍니다.
[조원철/연세대 명예교수 : "5층부터 모조리 차례대로 뜯어내는 작업을 했을 텐데, 그렇지 않고 기사가 건물 반쪽, 뒤쪽만 먼저 뜯고 앞쪽, 도로쪽은 그대로 놔뒀거든요. 그러면 건물 하중에 불균형이...도로쪽으로, 그래서 무너진 거죠."]
철거 공사가 계획보다 빠르게 진행된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조합 측이 낸 계획서에는 무너진 건물을 포함해 일대 건물 12채를 6월 말까지 해체하겠다는 계획이 담겨 있습니다.
하지만 사고 전까지 불과 2주 만에 한 채만 남겨놓고 건물 11동을 다 해체했습니다.
건물 한 채를 해체하는 데 이틀이 걸리지 않은 셈입니다.
사고가 난 재개발 현장에서는 그동안 건물 5백 50여 채가 철거됐지만 구청 측의 공식적인 현장 점검은 단 한 번도 없었습니다.
[조현기/광주시 동구 건축과장 : "감리가 현장 전반적인 안전 대책이나 철거 방법, 모든 내용에 대해서 감리(가 감독하도록) 업무가 돼 있거든요."]
무리한 철거 의혹에 대한 철거업체 측의 입장이 나오지 않는 가운데 경찰은 압수한 자료를 분석해 사고의 원인과 사업 추진과정에 불법성이 있는지 수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광주건물붕괴 #해체계획서 #건물붕괴사고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