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 휴한의원 운동장애 치료] 비정상적 움직임 관련 증상의 질환군 '이상운동질환'
Автор: 행복한 뇌 만들기 - 노원 휴한의원
Загружено: 11 дек. 2020 г.
Просмотров: 200 просмотров
안녕하세요.
휴한의원 노원점 김헌 원장입니다.
휴한의원 노원점 홈페이지 http://www.hyoonowon.com/
휴한의원 노원점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nikim72
02-934-9690
틱장애나 본태성 진전증, 파킨슨병과 같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정상적 움직임 관련 증상의 질환군을
‘이상운동질환’이란 범주에서 설명합니다.
이상운동질환의 정의는
“자발적이거나 자동적인 운동이 과도(운동과다증)하거나
과소한 상태(운동감소증)를 초래하는 질환군으로,
근력의 위약이나 경직으로 인하지 않는 경우를 통칭*”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상운동을 일으키는 병소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째, 기저핵(basal ganglion) 혹은 기저핵과 연결되는 뇌의 여러 부위와 관련된 이상운동
둘째, 소뇌와 관련된 협동운동불능증이나 실조증의 이상운동
셋째, 간대성근경련과 같이 대뇌피질을 중심으로 뇌줄기, 척수, 소뇌와 복합되는 이상운동 등입니다.
다음으로 이상운동질환의 구체적인 종류*를 예로 들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⑴ 떨림; 근긴장이상, 근간대경련, 무도증/도리깨질, 기타 불수의운동
⑵ 보행장애; 조심보행(cautious gait), 경직다리보행(stiff-legged gait), 소뇌실조보행(cerebellar ataxic gait), 감각실조보행(sensory ataxic gait), 파킨슨보행(parkinsonian gait), 근긴장이상보행(dystonic gait), 동결보행(gait freezing), 전두엽보행장애(frontal gait disorder)
⑶ 파킨슨병
⑷ 비정형파킨슨병
⑸ 윌슨병
⑹ 실조질환 등입니다.
출처; 신경학, 대한신경과학회, 범문에듀케이션, 2012
이와 같은 이상운동질환은 증상의 특징들을 감별하여,
그 원인이 무엇이고 신경계의 어느 레벨에서 관여되는지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부터 치료가 시작됩니다.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노원 휴한의원 운동장애 치료] 비정상적 움직임 관련 증상의 질환군 '이상운동질환'](https://ricktube.ru/thumbnail/gRphAgQXyiU/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