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숲 조성 실패 질타, 대책 마련하겠다
Автор: KNN NEWS
Загружено: 12 окт. 2023 г.
Просмотров: 217 просмотров
#바다숲 #사후관리 #국정감사
[앵커]
KNN이 연속 보도한 바다숲 조성 과정의 문제점과 사후관리 실패에 대한 질타가 국정감사에서 이어졌습니다.
정부는 사후관리 부족을 인정하고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습니다.
정기형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바다 사막화를 막겠다며 바다숲조성사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콘크리트 인공어초를 바다에 집어넣고 해조류를 심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사후관리 부족으로 10년 넘게 해마다 3백억원 가량을 쏟은 바다숲은 사라지고 있습니다.
{허성표/제주대 해양생명과학과 교수/여기에 해조류가 붙어서 생태계를 이루는데까지 굉장히 시간이 많이 걸리고...계절별로 회유하는 어종들이 거기에 정착해서 살지는 않을것이거든요. 그런 측면에서 보면 과연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일 것 같습니다.}
정부가 지난 2009년부터 바다숲조성사업에 쓴 예산은 3천 7백억원 이상, 첫 삽을 뜬 1971년 인공어초사업부터 계산하면 약 1조 6천억원입니다.
바다에 들어간 인공어초가 148만여개에 이릅니다.
인공어초가 오히려 콘크리트 쓰레기로 변해 바다에 악영향을 준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서 바다숲조성사업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습니다.
조성 과정과 사후관리 실패가 조목조목 지적됐습니다.
{윤미향/무소속 국회의원/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흉물처럼 방치되어 있습니다. 참담하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인공어초사업 발주기관에서는 건설, 공사의 품질을 제고할 방안을 다각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죠?}
{조승환/해양수산부 장관/"네"}
해양수산부는 조성 과정의 문제점과 사후관리 부족을 인정하고,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조승환/해양수산부 장관/심사를 강화하는 등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인공어초의 사후관리 강화를 위해서 사전*사후 영향조사도 강화해 나가면서 사후관리도 강화해서 나가겠습니다.}
KNN의 보도 이후 한국수산자원공단은 남해본부를 중심으로 인공어초 전수조사에 들어갔습니다.
해조류를 다시 심겠다는 계획도 내놨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된 사후관리 방안과 예산이 뒷받침 되지 못한다면 갯녹음 확산 등 악순환은 반복될 수 밖에 없습니다.
KNN 정기형입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email protected]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KNN 뉴스 채널 구독하기 : / @knn_news
▶KNN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s://news.knn.co.kr/news
페이스북: / knnnewseye
카카오톡: http://pf.kakao.com/_xaKgRV
인스타그램: / knn.news
이메일: [email protected]
전화: 1577-5999 · 055-283-0505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