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K국립해양박물관
12. 검은 참깨로 덮은 돼지고기 요리, 미누달(ミヌダル)
11. 세월이 빚은 빛, 도쿠노시마 조개 공예
10. 기얀마을의 하리, 타이구와누이(タイグワーヌイ)
8. 경주가 끝나도 축제는 계속 된다! 우승 축하 행사
9. 이토만 하레의 끝, 눈둔치 의례
7. 바다를 가르는 전통 경주, 쿤누카세(クンヌカセー)
6. 오키나와의 바다 먹거리가 있는 곳, 수산시장
5. 한 조각의 역사, 라후테(ラフテー)
3. 오키나와의 부엌, 마키시 공설시장(牧志公設市場)
4. 섞임의 미학, 고야 참푸루(ゴーヤー チャンプルー)
2. 류큐 예능, 사자춤(獅子舞)과 에이사(エイサー)
1. 류큐의 역사를 간직한 슈리성(首里城)
[2025 부산의 바다와 목포의 바다] 제6발표 – 탁현진(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25 부산의 바다와 목포의 바다] 제5발표 – 박세나(국립해양유산연구소)
[2025 부산의 바다와 목포의 바다] 제4발표 – 강승재(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
[2025 부산의 바다와 목포의 바다] 제3발표 – 이지현(부산대학교)
[2025 부산의 바다와 목포의 바다] 제2발표 – 정영현(부산대학교)
[2025 부산의 바다와 목포의 바다] 제1발표 – 이근우(부경대학교)
[2025 17세기 대명해로사행록의 위상과 시대적 의미] 제5발표- 정영문(숭실대학교)
[2025 17세기 대명해로사행록의 위상과 시대적 의미] 제4발표- 김윤아(국립해양박물관)
[2025 17세기 대명해로사행록의 위상과 시대적 의미] 제3발표- 하경숙(선문대학교)
[2025 17세기 대명해로사행록의 위상과 시대적 의미] 제2발표- 성영애(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5 17세기 대명해로사행록의 위상과 시대적 의미] 제1발표- 김지현(광운대학교)
[2025 17세기 대명해로사행록의 위상과 시대적 의미] 기조강연- 조규익(숭실대학교)
[2025 다시 만나는 해양로에서 바다로] 안전하고 똑똑한 미래 해양도시 – 이주아 KIOST 선임연구원
[2025 콜로키움] 나전칠기: 시대를 거스른 명품
[2025 콜로키움] 물결위의 시선: 존재의 경계에서 바다를 그리다.
[2025 다시 만나는 해양로에서 바다로] 조선의 못난 개항 – 문소영 언론인(서울신문 대기자)
[2025 기획전시] "수군, 해전" 오디오 가이드 메이킹필름
해양수산전시관 네트워크 10주년 공동순회전 [하나의 바다 열 개의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