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 수술 후 감염성 불유합(골수염) 재수술|단계적 치료를 통해 해결
Автор: 골절탐정 김한주
Загружено: 2025-07-15
Просмотров: 2302
#골절 #불유합 #골수염 #정형외과 #골절수술
안녕하세요. 정형외과 전문의 · 외상학 세부 전문의 김한주입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기계에 팔이 눌려 팔꿈치 골절을 입은 환자의 감염성 불유합 케이스를 소개합니다.
타 병원에서 수술 후 2개월이 지난 시점에 내원하셨는데, 당시 팔꿈치는 강직되어 있었고, 요골신경 마비 증상과 함께 상처에서는 고름이 떨어질 정도로 심한 감염 소견이 확인되었습니다.
엑스레이 상에서는 골절 부위에 전혀 유합이 진행되지 않았고, 감염성 불유합(골수염)으로 판단되었습니다.
이러한 경우 단순한 수술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골수염과 불유합을 모두 해결하기 위해 단계적인 접근이 필수적입니다.
1차 수술에서는 철저한 세척과 변연절제를 시행한 후, 감염 조절을 위해 항생제 시멘트를 삽입하고, 작은 금속판으로 임시 고정을 했습니다. 이후 바로 재활을 시작하였고, 6주간 항생제 치료를 지속하였습니다.
CRP 수치가 정상화된 이후, 2차 수술을 통해 다시 한 번 세척과 변연절제를 시행하고, 메인 금속판으로 단단히 고정했습니다. 이때 시행한 균 배양 검사 결과 감염이 조절된 것으로 확인되어, 마지막 3차 수술에서 자가골과 BMP 이식을 통해 골유합을 얻었습니다.
환자분은 3차 수술 후 3개월 만에 뼈 유합이 거의 완료되었고, 요골신경 마비와 팔꿈치 강직도 대부분 호전되었습니다.
감염성 불유합은 어려운 케이스이지만, 균 배양 결과에 기반한 다단계 수술 프로토콜을 충실히 따르면 좋은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복합적인 문제가 겹친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접근하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실제 사례를 통해 정확하고 실용적인 의학 정보를 전해드리겠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금속정 수술 실패, 상완골 불유합, 재수술 관련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